해병 청룡부대가 1965년 10월 월남전 파병을 위해 부산항을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자세히
건국 후 최초·최대 파병…'살아있는 과거사' 평가 한·베트남, 92년 수교 후 상전벽해 수준 관계발전
한국군의 베트남전 파병이 이뤄진 지 11일로 50주년이 된다.
반세기가 흐른 지금, 전장에서 총부리를 겨눴던 한국과 베트남은 정치적으로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경제적으로는 주요 교역 상대국으로 상전벽해 수준의 관계 발전을 이루게 됐다.
그러나 여전히 베트남전은 우리에게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는 '살아있는 과거사'라는 평가가 나온다.
◇ 건국 후 최초·최대 파병…경제발전엔 기여 평가
1964년 9월 11일 제1이동외과병원 및 태권도 교관단 등 140명의 국군 장병을 태운 해군 상륙함(LST)이 베트남으로 출발했다. 부산항에서 떠난 이들은 같은 달 22일 사이공(현 호찌민) 동쪽 붕타우에 상륙했으며 이로써 베트남전 참전이 시작됐다.
한국의 파병은 1965년 8월 전투병으로 확대됐다. 미국의 요청으로 우리 정부는 그해 8월 포항에서 해병 제2여단(청룡부대)을 창설했으며 이들은 10월 베트남 캄란만에 상륙했다.
베트남에서 철수한 1973년 3월까지 8년여 동안 모두 6차례에 걸쳐 총 32만여명의 우리 장병이 파병됐다. 이 중 5천99명이 숨지고 1만1천232명이 부상했다.
당시 파병은 대한민국 건국 이후 이뤄진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파병이었다.
많은 논란 속에서 이뤄진 베트남전 파병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엇갈리고 있지만 당시 참전과 젊은이들의 희생 대가로 우리가 확보한 '달러'는 한국 경제성장의 중요한 토대를 제공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지난 2005년 베트남전 관련 외교문서 공개시 정부 관계자는 참전의 경제 효과와 관련, 국방부 자료를 인용하며 군사원조 증가분(10억달러)과 미군의 한국군 파병 경비(10억달러), 베트남전 특수(10억달러) 등 모두 50억달러 규모의 외화수입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