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병장
- 백마28연대
- 호이안
- 맹호1연대
- 안케패스
- 파월장병
- 주월사
- 해병2여단
- 백마사령부
- 서울시향
-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 이병장의 베트남전적지
- 백마
- 맹호26연대
-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 해병
- 베트남전적지탐방
- 638고지
- 청룡
- 백마29연대
- 맹호부대
- 퀴논
- 맹호
- 맹호기갑연대
- 투이호아
- 베트남전적지
- 월남전
- 베트남전쟁
- 백마부대
- 해병194기
- Today
- Total
목록102후송병원 (6)
이병장의 베트남전쟁과 남겨진 이야기들...
울산과 영천전우들이 전적지여행을 50만에 찾아왔다 십자성부대와 백마부대 맹호부대로 참전한전우들이 호치민에서부터 퀴논 638고개까지 800키로을 달려 참전지역을 돌아보고 국내선비행기로 호치민에 돌아와 귀국했다 십자성부대 102병원에서 참전하신 전우님이 십자성사령부 정문 빵카와 정문이그대로 있는것을 보고 50년전 그때을 생각해본다
영천과 울산전우들이 전적지여행 오셨다 47년 50년만에 찿아와본 참전지역은 잡초만 우거진채 50년전 아스팔트가 부대자리라는것을 말해준다 십자성부대 102병원터는 빈공터로 남아있고 십자성 사령부정문은 50년전그대로 낭아있다 장마철이라 혼바산 바위가 구름에가려있고 봉로만 등대는 선명하게보인다
백마966포대 차리 포대 십자성 투이호아 병원 12군수 정우진 (정천식)노병이 투이호아 탄약부대을 방문하면서 3일동안 투이호아에서만 지내면서 투이호아 지역 백마포대와 십자성102병원 투이호아병원 28연대 지역을 보고싶다고 해서 몇군대 한국군 참전지역을 다녀 보았습니다 백마966포대가 있던 폭빈마을 전쟁당시에 이절은 그대로 남아있다 참전당시 966포대 폭빈마을 백마 최현득 병장 언제나 찿아가면 반갑게 맞아주는 전쟁당시부터 이곳에 살고있는 할아버지 40년전에도 고목이였다는 966포대가 있던자리에 열대고목은 지금도 그대로그자리에 버티고 서있다 폭빈마을 입구에 베트남 전승비가 서있다 같이간 젊은 교수도 직접참전지역 현장을 보고 글로만 보던 생각하고 전혀다른느낌이라고 처음엔 한국군 참전지역을 찿아가면 현지주민들의..
100군수 사령부 현재 위치 사진 과 머리돌 장교 구락부 십자성 2단본부 중대에서 1년6개월을 근무하고 당시는 특과병이라고 하는 2단 PX와 한성권 단장님 숙소에서 근무해서 대체로 자유롭게 각 부대 및 나트랑 시내를 다녀 서 부대 위치를 상세히 알고 있습니다 100군부 사령부에 근무 하셧던 분들은 사령부 여행시 참고기 바랍니다 .십자성 사령부와 십자성 2단은 십자성 극장을 기준으로 중앙로 길 건너편에 나란히 있엇습니다.극장 바로 앞 길 건너편이 십자성PX고 PX뒤로 사령부 연병장 바로 옆이 2단본부 연병장입니다. 사령관 집무실과 2단장 집무실과 각 사무실은 연병장 위 높은 지역에 자리잡고 있었습니다.현재 도 사령부와 2단본부 중대는 베트남 군인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옛 날 건물 그대로) 사령관숙소는 오른..
십자성 사령부와 2군수부대 102병원이 있던 십자성 사령부 나트랑 방향 사령부 중앙로 정문은1973년 십자성 부대가 철수 이후에도 40년동안 그자리에 그대로 남아있다 십자성 사령부 사령관 숙소가 있던 지역은 지금도 베트남군인들이 그대로 사용중 이다 십자성사령관숙소 청기와 집이 보인다 십자성사령부 정문 옆 경남기업에서 군인들 세탁물을 수거해서 세탁해주던 건물은 일부 아파트로 변하고 건물은 그대로 남아있다 십자성사령부와 2군수(2단본부)가 사용하던 지역은 현재 베트남군인들이 옛 건물 그대로 사용 중이다 십자성극장과 237수자대는 그 자리에 그대로 남아있다 102병원은 정문기둥만 덩그라니 서있고 공터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