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맹호1연대
- 호이안
- 베트남전적지
- 투이호아
- 백마28연대
- 안케패스
-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 이병장
- 월남전
- 백마부대
- 맹호부대
- 서울시향
- 백마
- 맹호기갑연대
- 백마29연대
- 베트남전적지탐방
- 맹호
- 베트남전쟁
- 파월장병
- 주월사
- 맹호26연대
- 해병
- 해병194기
- 638고지
- 이병장의 베트남전적지
- 백마사령부
- 청룡
- 퀴논
- 해병2여단
-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63)
이병장의 베트남전쟁과 남겨진 이야기들...
현재의 비둘기 부대 정문 모습 건설지원단 현황건설지원단은 사이공 인근 기안(Dian)에서 각종 민사심리전을 수행하여 민심을 획득하는데 주안을 두었다.창설 및 파병베트남전쟁 당시 남베트남 수도였던 사이공은 정치·경제의 중심지인 동시에 파병된 연합군의 민사심리전 경쟁터였다. 건설지원단이 주둔했던 디안 지역은 남베트남군 제3군단 관할 지역으 로 캄보디아 국경으로부터 빈호아와 디안을 거쳐 사이공 남단에 이르는 호치민 루트로 연결되는 베트콩의 핵심 루트인 ‘D지역’ 이었다. 이곳을 중심으로 미군, 태국군, 오스트레일리아군 등이 10개 성(省)을 대상으로 연합 심리전을 전개했는데 비둘기 부대의 민사심리전이 으뜸이었다.건설지원단은 1965년 파병 당시에는 한국군 군사원조단으로서, 육군 제127공병대대, 제101경비대..
십자성사령부 지도 큰 지도에서 월남전 한국군 주둔지 및 작전지역 보기 제100군수사령부 > 한국군 참전 Ⅱ > 제100군수사령부 > 제100군수사령부 청룡·맹호·백마부대는 전선없는 전장에서 북베트남군 및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베트공)과 치열한 전투를 수행하고 있었다.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은 책임지역내에서 독자적 작전 통제권을 행사하면서, 미군 및 남베트남군 등과 긴밀한 연합작전협조체제를 유지했다. 그리고 또 다른 전장에서는 제100군수 사령부가 700여 Km의 광범위한 작전 종심이었지만 지속적인 전투근무지원을 원할하게 수행했다.제100군수 사령부(十字星 부대) 창설전투부대가 전선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작전 여건을 보장하는데 있어 전투근무지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 년 평균 34도 내외의 무더운 기상..
백마사령부 지도 큰 지도에서 월남전 한국군 주둔지 및 작전지역 보기 백마사령부 정문2013년9월3일 촬영 2013년 9월 백마사령부 연병장 파병과 주요작전제9사단은 남베트남 해안선을 따라 뚜이호아, 닌호아, 깜란 일대에서 많은 작전을 수행하였다. 특히 오작교 작전, 홍길동 작전, 백마 작전 등을 통해 작전지역 내 전장 주도권을 장악하였다.개요제9사단은 수도사단 및 제2해병여단에 이어 전투부대 파병 제2진으로, 제28연대 본대와 제29연대 선발대는 1966년 8월 30일 부산항 제3부두를 출발하여 1966년 9월 5일, 남베트남의 나짱(Nha Tranng)에 상륙하였다.이후 사단은 뚜이호아(Tuy Hoa), 닌호아(Ninh Hoa), 나짱(Nha Trang), 깜란(Cam Ranh) 일대에 주둔하면서, 1..